에어컨 청소 셀프로 하는 방법
에어컨 셀프 청소, 정말 가능할까요? 혼자서 할 수 있는 부분부터 위험한 부분까지 단계별로 정리했어요. 직접 하기 전 꼭 읽어보세요! 전문 청소가 필요할 땐 아래 버튼을 눌러주세요.
에어컨 셀프 청소, 해도 될까요?
에어컨에서 이상한 냄새가 나거나, 시원한 바람이 약해졌다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건 "청소 한 번 해야겠네..."일 거예요.
그런데 막상 전문 업체를 부르자니 비용이 부담되고, 한 번쯤은 내가 직접 해보고 싶을 때 있죠.
오늘은 **‘혼자서 할 수 있는 부분’과 ‘절대 하면 안 되는 부분’**을 구체적으로 나눠서 알려드릴게요.
셀프로 가능한 에어컨 청소 범위
사실 에어컨은 구조가 꽤 복잡해요. 하지만 기본적인 부분은 셀프로 충분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. ✅ **셀프로 가능한 부분**
- 전면 필터 청소
- 외부 송풍구 먼지 제거
- 냄새 제거용 탈취 스프레이 분사
- 에어컨 외관 닦기
❌ **셀프로 비추천하는 부분**
- 내부 송풍팬 분해 및 곰팡이 제거
- 드레인 배관 청소 (막힘 방지)
- 고압세척, 항균 코팅
한마디로, 겉은 가능하지만 속은 전문가에게!
셀프 청소 준비물 체크리스트
청소를 시작하기 전, 다음 준비물이 있으면 훨씬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어요.
- 부드러운 칫솔 또는 미세 솔
- 중성세제나 주방세제 희석액
- 물티슈 또는 마른 천
- 소독용 에탄올 (냄새 제거용)
- 탈취 스프레이 (시트러스 계열 추천)
시판용 에어컨 클리너 스프레이도 있지만, 송풍구에만 살짝 뿌려야지 깊숙이 넣으면 고장 위험 있어요.
에어컨 셀프 청소 순서
1. 전원 OFF → 플러그 분리
감전 방지를 위해 꼭! 전원을 내리고 콘센트도 뽑아주세요. 2. 전면 커버 열기 → 필터 꺼내기
대부분 위로 살짝 당기면 열립니다. 필터는 탈착이 쉬워요. 3. 필터 물세척
중성세제로 부드럽게 문질러주세요. 마른 그늘에서 완전히 건조한 후 다시 장착해야 해요. 4. 송풍구 주변 먼지 제거
솔이나 물티슈로 먼지 제거 + 탈취 스프레이 분사 (가볍게만!) 5. 외부 케이스 닦기
생활 먼지와 세균을 닦아주세요. 특히 리모컨 근처도 함께! 6. 송풍모드로 10분 이상 건조
청소 후에는 내부 습기를 말리는 게 중요해요. 곰팡이 방지 핵심 포인트입니다!
에어컨 청소 주기 & 타이밍
에어컨을 얼마나 자주 쓰는지에 따라 다르지만, 보통 다음 주기가 추천돼요.
- 필터 청소: 한 달에 한 번
- 전문 청소: 1년에 1~2번
- 셀프 전체 청소: 냄새나거나 바람이 약해질 때
봄에서 여름 넘어가는 지금이 **가장 적기**예요. 여름 성수기 되면 예약도 어렵고, 비용도 올라가거든요.
이럴 땐 전문가에게 맡기세요
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, 과감히 전문가에게 맡기시는 게 시간도, 기기도 지키는 길이에요.
- 청소 후에도 냄새가 심하게 날 때
- 바람이 나오지 않거나 소음이 발생할 때
- 곰팡이, 검은 먼지가 눈에 보일 때
- 천장형(시스템에어컨)일 경우
전문가는 고압세척, 곰팡이 제거, 항균 코팅까지 완벽히 가능하니까요.
마무리 – 셀프 청소는 ‘관리’, 문제 해결은 ‘전문가’
에어컨 셀프 청소는 우리가 직접 우리 가족의 공기를 챙기는 작고도 의미 있는 일입니다.
하지만 그 안의 깊은 구조까지 청소하려다 에어컨이 고장나거나, 곰팡이가 되레 퍼지는 경우도 있어요.
셀프 청소로 틈틈이 관리하고, 정기적인 전문가 청소로 완전한 위생을 챙겨보세요. 우리 가족의 숨 쉬는 공기, 한여름이 오기 전 미리 준비해보는 건 어떨까요? 😊